혼자 일상생활이 어려운 저소득층 가정에 꼭 필요한 서비스가 바로 가사·간병 방문지원서비스입니다. 정부에서 가사일과 간병을 동시에 지원하는 제도로, 2025년에는 대상과 시간, 서비스 항목이 확대되어 더 많은 국민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어요 😊 이 글에서는 신청 조건, 비용, 이용 절차를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1. 가사·간병 방문지원서비스란?
혼자 일상생활이 어려운 사람에게 정부가 전문 인력을 파견해 가사 지원 + 간병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저소득층 맞춤 복지서비스입니다.
- 운영기관: 보건복지부
- 지원형태: 월 24~100시간 범위 내 가사·간병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인력: 가사간병방문도우미 자격 소지자
2. 지원 대상 (2025년 기준)
- ✔️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 ✔️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정, 자활근로자 등)
- ✔️ 중위소득 70% 이하의 장애인·노인 단독가구
- ✔️ 긴급복지 수급자 또는 위기가구로 판정된 자
✅ 장애인 활동지원제도와 중복불가, 국민건강보험 장기요양 수급자는 해당되지 않아요!
3. 제공 서비스 내용
- 🧹 가사지원: 청소, 세탁, 식사준비, 장보기 등
- 🩺 간병지원: 병원 동행, 신체활동 보조, 투약 보조 등
- 🧑🦯 안전관리: 낙상예방, 위생관리, 말벗 등 정서지원
💡 실제로는 주 2~3회 방문이 일반적이며, 필요 시 1일 최대 4시간까지 확대 가능해요.
4. 본인 부담금 (2025년 기준)
구분 | 월 이용시간 | 본인 부담금 |
---|---|---|
기초생활수급자 | 월 40~100시간 | 면제 (전액 정부부담) |
차상위계층 | 월 24~84시간 | 월 24,000~65,000원 |
일반 저소득층 | 월 24~84시간 | 월 48,000~130,000원 |
✔️ 가구 소득, 상황에 따라 차등 부과되며, 일부 지자체는 추가 감면 혜택도 있어요ㅎㅎ
5. 신청 방법 및 절차
① 신청처
-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 복지상담창구(사회복지전담 공무원에게 문의)
② 준비서류
- 신청서(주민센터 비치)
- 신분증, 건강보험자격확인서
- 소득 및 재산 증빙자료
③ 절차
- 신청서 접수
- 자격 심사 및 가구 상황조사
- 대상자 선정 → 서비스 연계
- 가사간병 인력 배정 및 시작
6. 자주 묻는 질문 (FAQ)
Q. 병원 입원 중인 사람도 신청할 수 있나요?
❌ 아니요. 입원 기간 동안은 서비스 이용이 불가하며, 퇴원 후 연계 가능합니다.
Q. 가족이 있어도 신청 가능한가요?
🔸 가능합니다. 다만 가족의 돌봄이 어려운 경우임을 입증해야 해요!
Q. 서비스 기간은 얼마나 되나요?
✔️ 기본 6개월, 최대 12개월까지 연장 가능합니다. 필요 시 재신청도 가능해요 ㅎㅎ
7. 참고 사이트 및 문의
- 복지로 - 가사간병 방문지원서비스
- 보건복지부 공식 홈페이지
- 보건복지상담센터 ☎ 129 (연중무휴)
몸이 불편한 부모님을 혼자 모시는 가정, 소득이 부족한 1인 가구라면 가사·간병 방문지원서비스는 정말 실질적인 도움이 됩니다. 복잡하지 않은 절차로 가사와 간병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으니 2025년 현재 기준으로 꼭 신청해보세요! 정부가 함께 도와드립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