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저소득층 에너지 바우처 지원 제도 안내

by 콩이송이맘 2025. 4. 27.

겨울철과 여름철, 저소득 가구에게 가장 큰 부담 중 하나는 난방과 냉방에 드는 에너지 비용입니다. 이를 돕기 위해 정부는 에너지 바우처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2025년에는 지원금액이 인상되고 신청 대상도 확대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에너지 바우처의 신청 조건, 지원금액, 사용 방법을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1. 에너지 바우처 제도란?

에너지 바우처는 저소득 취약계층의 에너지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연탄, 등유 등 에너지 비용을 지원하는 정부 복지제도입니다.

  • 시행 기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공단
  • 신청 창구: 주소지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 지원 기간: 여름(냉방) + 겨울(난방) 시즌별 운영

2. 2025년 지원 대상

  •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 아래 조건 중 하나 이상 해당하는 가구:
    • 노인 (만 65세 이상)
    • 영유아 (만 6세 미만)
    • 장애인 등록 가구
    • 임산부
    • 중증질환자·희귀난치질환자

✅ 단독세대주인 청년, 장애인, 1인 가구도 우선지원 대상으로 확대 적용됩니다.

3. 지원 금액

2025년에는 물가 상승과 에너지 가격 변동을 반영해 바우처 금액이 전년 대비 15~20% 인상되었습니다.

가구 유형 여름 바우처 (냉방) 겨울 바우처 (난방) 총 지원금액
1인 가구 9,000원 120,000원 129,000원
2인 가구 13,000원 170,000원 183,000원
3인 이상 15,000원 210,000원 225,000원

💡 바우처는 사용하지 않으면 차기 연도로 이월되지 않으며, 시즌 종료 시 자동 소멸됩니다.

4. 신청 방법

① 신청 기간

  • 여름 바우처: 매년 5월 ~ 9월
  • 겨울 바우처: 매년 10월 ~ 이듬해 4월

② 신청처 및 절차

  • 주민센터 방문: 주소지 관할 동주민센터
  • 온라인 신청: 복지로 → 에너지바우처 메뉴
  • 제출서류: 신분증, 통장사본, 수급자 증명서, 임대차계약서(필요 시)

5. 사용 방법

  • 전기요금 차감: 전기요금 고지서에서 자동 차감
  • 도시가스: 지역 도시가스사 등록 시 요금 차감
  • 등유, 연탄: 지정된 공급처에서 바우처 카드 사용
  • 지역난방: 공급업체와 연동하여 자동 차감

복지카드 또는 국민행복카드와 연계된 경우, 실물 없이도 자동 차감 사용 가능

6. 자주 묻는 질문 (FAQ)

Q. 전기세가 바우처 금액보다 적으면 남은 금액은 어떻게 되나요?

✔️ 다음 달로 이월 사용 가능합니다. 단, 동일 시즌 내에서만 유효합니다.

Q. 여름만 받고 겨울은 못 받나요?

🔸 1회 신청으로 여름·겨울 모두 자동 지급됩니다.

Q. 이사하거나 계좌 변경 시 어떻게 하나요?

✔️ 즉시 주민센터에 변경 신고하면 바우처 적용 주소나 계좌가 변경됩니다.

7. 참고 사이트

맺음말

날씨가 점점 극심해지는 요즘,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은 생존에 가까운 복지입니다. 2025년에는 지원 금액과 대상이 확대되었으므로, 해당 요건에 맞는 가구는 반드시 기한 내 신청하시어 따뜻하고 건강한 겨울과 시원한 여름을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