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임으로 고민하는 부부들을 위해 대한민국 정부는 다양한 지원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5년부터 난임 시술비 지원 제도가 확대되면서 더욱 많은 부부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1. 난임 시술비 지원 대상 및 변경 사항
1) 지원 대상
난임 시술비 지원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모든 난임 부부를 대상으로 합니다.
이전에는 소득 기준이 있었지만,
2024년 11월부터 소득 제한이 폐지되어 소득과 관계없이 모든 부부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법적으로 혼인 신고를 한 부부뿐만 아니라 사실혼 관계에 있는 부부도 지원 대상에 포함됩니다.
다만, 사실혼 부부는 처음 신청할 때 보건소 방문이 필수입니다.
2) 변경 사항
2025년부터 난임 시술비 지원제도에는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습니다.
소득 기준 폐지: 소득에 상관없이 모든 부부가 지원 가능
지원 횟수 확대: 부부당 25회에서 '출산아당 25회'로 변경
난임 치료 휴가 확대: 기존 3일에서 6일로 연장
비급여 항목 지원 확대: 배아동결비, 착상보조제, 유산방지제 등 일부 비급여 항목 지원
2. 지원 내용 및 지원 금액
1) 지원되는 시술 항목
난임 시술비 지원제도는 다음과 같은 시술 항목에 대해 지원합니다.
자궁내 정자주입술(IUI)
체외수정(IVF) - 신선배아, 동결배아 배아동결보관비
착상보조제 및 유산방지제 등 일부 비급여 항목
2) 지원 금액
난임 시술 비용의 본인 부담금 중 **90%**를 지원하며, 일부 비급여 항목도 포함됩니다.
또한, 연령 제한 없이 모든 연령대에서 동일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난임 치료 휴가 및 기타 지원 제도
2025년부터 난임 치료 휴가가 기존 연간 3일에서 6일로 확대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난임 시술을 받는 부부들은 보다 여유롭게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지자체별로 추가적인 난임 지원 정책을 운영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거주 지역의 보건소에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난임 시술비 지원 신청 방법
1) 온라인 신청
정부24 (https://www.gov.kr) 또는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 온라인 신청은 법적 혼인 부부만 가능하며, 사실혼 부부는 보건소 방문 필수
2) 방문 신청
거주지 관할 보건소 방문하여 신청 가능 필요 서류: 신분증, 난임 진단서, 주민등록등본 등
5. 결론
난임으로 고민하는 부부들에게 정부의 시술비 지원 제도는 큰 도움이 됩니다.
2025년부터는 지원 범위가 더욱 확대되어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보다 많은 부부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난임 시술을 고려하고 있다면 지원 신청 방법과 변경된 정책을 꼼꼼히 확인하고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