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취업성공패키지 vs 국민취업지원제도 차이점과 선택 기준

by 콩이송이맘 2025. 5. 19.

뭐가 다를까? 차이점과 선택 기준 정리

정부의 대표적인 구직자 지원제도로는 취업성공패키지국민취업지원제도가 있습니다.

두 제도 모두 구직자에게 취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대상, 내용, 수당 등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2025년 기준으로는 국민취업지원제도가 기존 취업성공패키지를 흡수·통합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어

제도 이해가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본 글에서는 두 제도의 **핵심 차이점, 지원대상, 수당, 선택 기준**을 자세히 비교 정리해드립니다.

1. 기본 개념 비교

항목 취업성공패키지 국민취업지원제도
운영기간 2010~2020 (현재는 통합됨) 2021~현재 (2025년에도 지속 운영 중)
운영형태 고용센터 중심 단독사업 1유형 + 2유형으로 세분화
지원금 취업성공수당(최대 150만원) 구직촉진수당(월 최대 65만원 × 6개월)
참여 대상 청년·중장년·저소득층 광범위한 계층 포함 (청년, 중장년, 경력단절, 특고 등)

📌 결론: **취업성공패키지는 종료**되었으며, 현재는 국민취업지원제도로 통합되었습니다.

2. 국민취업지원제도 구조

2025년 현재 운영되는 국민취업지원제도는 1유형(구직촉진수당형)2유형(취업지원 서비스형)으로 구성됩니다.

① 1유형 (구직촉진수당 수령 가능)

  • 대상: 중위소득 60% 이하 + 재산 3억 원 이하 + 취업의사 있는 구직자
  • 지원: 매월 65만 원 × 6개월 = 총 390만 원
  • 조건: 구직활동 보고서 제출, 면접·훈련 참여 필수

② 2유형 (수당은 없지만 서비스 제공)

  • 대상: 청년, 경력단절여성, 은퇴자, 장기실업자 등
  • 지원: 직업상담, 훈련 연계, 인턴, 취업알선 등
  • 수당: 없음 (단, 청년 구직활동지원금 신청 가능)

💡 구직촉진수당 수령을 원하는 경우 1유형에 집중해야 하며, 자산·소득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자동으로 2유형으로 전환됩니다.

3. 어떤 제도를 선택해야 할까?

현재는 실질적으로 국민취업지원제도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만, 자신의 소득·재산·취업 의지 등에 따라 1유형 또는 2유형으로 분류되므로 아래 기준을 참고하세요.

1유형 추천

  • 소득이 낮고, 실질적인 구직수당이 필요한 경우
  • 취업의지가 명확하고 활동을 이행할 수 있는 경우

2유형 추천

  • 소득은 있으나 취업 서비스가 필요한 청년 또는 중장년
  • 직업훈련, 인턴, 이력서 코칭 등의 실무 지원이 필요한 경우

✔️ 신청은 워크넷 또는 고용센터 방문을 통해 가능합니다.

4. 자주 묻는 질문 (FAQ)

Q. 예전에 취업성공패키지를 받은 적 있는데, 다시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 가능할까요?

✔️ 가능합니다. 단, 수급 이력에 따라 수당 지급 횟수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Q.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 중에도 다른 구직활동이 가능한가요?

✔️ 네. 구직활동을 병행할 수 있으며, 실취업 시 제도 종료 또는 지원금 일부 수령이 가능합니다.

Q. 자영업자도 신청 가능한가요?

🔸 조건에 따라 가능하며, 소득과 사업규모에 따라 심사 후 참여 여부 결정됩니다.

5. 참고 사이트 및 신청처

맺음말

지금은 단순히 일자리를 찾는 시대가 아니라 맞춤형 취업 지원이 핵심인 시대입니다.

 

국민취업지원제도는 실질적인 취업 연계뿐 아니라,

생계 지원까지 가능한 중요한 복지+고용 제도이므로 자신의 조건에 맞게

1유형 또는 2유형을 선택해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