깔창 생리대 그 후..
몇 년 전 생리대 구입이 어려워 신발 깔창과 휴지를 돌돌 말아 쓸 수밖에 없었던 저소득가정 여학생의 사연이 세상 사람들을 울렸었습니다. 이후 각 지자체 또는 다양한 단체들의 후원이 생겨났지만 그 대상이 저소득층으로 대상 범위가 협소해 기준에 부합되지 않은 사각지대 아이들은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정작 대상이 되더라도 부끄러움 때문에 지원 신청을 하지 않는 청소년도 많다고 합니다. 또 각기 다른 지자체 상황에 따른 지원 사업의 격차도 크다 보니 여성이라면 반평생 동안 매월 찾아오는 월경이 여성 생활필수품인 생리대 때문에 부담스럽고 그저 불편한 '생리 빈곤여성'이 많을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현재 국비 사업인 '여성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지원 사업'을 넘어서 소득과 관계없이 여성청소년의 생리대 보편 지급을 제도화하여 월경에 대한 인식개선 및 불평등 문제가 해소되길 바랍니다.
지원 대상 및 내용
정부 국비사업인 여성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지원은 여성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지원 및 건강권을 보장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자격기준으로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생계·의료·주거·교육 급여 수급자, 법정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지원법」 제5조 및 제5조의 2에 따른 지원대상자로써 여성청소년 나이 9~24세(2022년 기준 1998. 1. 1. ~ 2013. 12. 31. 출생자)로 연(年)을 기준으로 나이가 산정(연 나이:2022년 - 출생연도)되며 만 24세에 도달하는 연도 말까지 최대 16년(192개월) 바우처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2022년도 기준 상반기(1~6월) 월 12,000원, 하반기(7~12월) 월 13,000원으로 1월, 7월 반기마다 바우처가 생성되어 해당 연도 12월 31일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잔여 바우처는 익년도 1월 1일에 전액 소멸됨)
신청 방법
청소년 대상자 본인 또는 부모가 신청하는 것이 원칙이며, 부모의 사정으로 신청이 어렵거나 주양육자가 부모가 아닌 경우 청소년 양육을 주로 담당하는 사람(주민등록상 세대를 같이하는 가족, 가족관계증명서를 지참한 친족, 후견인, 법정대리인, 사회복지시설장, 청소년 복지시설장, 위탁가정의 위탁모 등)이 청소년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읍면사무소(행복지원센터) 직접 방문 또는 온라인 복지로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 온라인 신청의 경우 공인인증서가 있는 대상자 본인, 세대를 같이 하는 부모 및 형제자매, 배우자만 신청 가능합니다. 신청 서류로 신분증 및 대리인 신분증, 주양육자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가족관계 증명서 등)가 필요하며, 대상자 본인 신청 시 만 14세 미만의 청소년인 경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에 법정대리인의 서명이 꼭 필요합니다.
바우처 사용 방법
신청인 또는 청소년 본인 명의의 국민행복카드를 발급 받아 각 카드사별 바우처 이용 가능 판매점(온라인/오프라인)에서 생리대 또는 탐폰 등을 자유롭게 구매 가능합니다. 각 카드사별 이용 구매처는 BC카드(온라인 : G마켓, 옥션, 먼슬리싱, 페이북쇼핑, 우리WON마켓, 국민행복몰/오프라인 : 이마트, 이마트 트레이더스, CU편의점, GS25편의점, GS더프레시, 노브랜드, PK마켓, 농협하나로마트, 홈플러스, 홈플러스익스프레스, 부츠(boots)), 삼성카드(온라인 : 삼성쇼핑몰, 국민행복몰/오프라인 : 이마트, 이마트 트레이더스, CU편의점, GS25편의점, GS더프레시, 노브랜드, PK마켓, 농협하나로마트, 홈플러스, 홈플러스익스프레스, 부츠(boots)), 롯데카드(온라인 : 올마이쇼핑몰/오프라인 : 롯데마트, 롯데빅마켓, 농협하나로마트, CU편의점, GS25편의점, GS더프레시,홈플러스, 홈플러스익스프레스), KB국민카드(온라인 : KB국카몰, 국민행복몰/오프라인 : GS25편의점), 신한카드(온라인 : 국민행복몰, 올댓쇼핑/오프라인 : GS25편의점)로 그 구매처가 각기 다름에 유의해야 합니다.
댓글